1, 景行錄에 云 賓客不來門戶俗하고 詩書無敎子孫愚이니라
(경행록에 운 빈객불래문호속하고 시서무교자손우이니라)
☞ 경행록에 이르기를 손님이 집에 오지 아니하면 집이 속되어 지고, 시와 서의 가르침이 없으면 자손이 어리석어진다.
2, 莊子가 曰 事雖小나 不作이면 不成이오 子雖賢이나 不敎면 不明이니라
(장자가 왈 사수소나 부작이면 불성이오 자수현이나 불교면 불명이니라)
☞ 장자가 말하기를 일이 비록 작으나 만들지 아니하면 이루지 못하고, 자식이 비록 현명하나 가르치지 아니하면 밝지 아니하다.
3, 漢書에 云 黃金滿盈이 不如敎子一經이오 賜子千金이 不如敎子一藝이니라
(한서에 운 황금만영이 불여교자일경이오 사자천금이 불여교자일예이니라)
☞ 한서에 이르기를 황금이 상자에 가득한 것이 아들에게 한 경서를 가르치는 것만 못하고 자식에게 천금을 주는 것이 자식에게 한 재주를 가르치는 것만 못하다.
4, 至樂은 莫如讀書오 至要는 莫如敎子이니라
(지락은 막여독서오 지요는 막여교자이니라)
☞ 지극히 즐거운 것은 글을 읽는 것 만한 것이 없고 지극히 중요한 것은 자식을 가르치는 것 만한 것이 없다.
5, 呂滎公이 曰 內無賢父兄하고 外無嚴師友而能有成者가 鮮矣이니라
(여형공이 왈 내무현부형하고 내무엄사우이능유성자가 선의이니라)
☞ 여형공이 말하기를 안으로 어진 아버지와 형이 없고 밖으로 엄한 스승과 벗이 없으면서 능히 이룸이 있는 자는 드물다.
•
呂滎公 : 북송의 학자. 이름은 희철. 형공은 시호임
6, 太公이 曰 男子失敎면 長必頑愚하고 女子失敎면 長必추疎이니라
(태공이 왈 남자실교면 장필완우하고 여자실교면 장필추소이니라)
☞ 태공이 말하기를 남자가 가르침을 잃으면 자라서 반드시 완고하고 어리석고 여자가 가르침을 잃으면 자라서 반드시 거칠고 소홀해진다.
7, 男年長大어든 莫習樂酒하고 女年長大어든 莫令遊走이니라
(남년장대어든 막습낙주하고 여년장대어든 막령유주이니라)
☞ 남자 나이가 자라서 크거든 술 즐기기를 익히게 하지 말고 여자 나이가 자라서 크거든 놀러 다니게 하지 말라.
8, 嚴父는 出孝子하고 嚴母는 出孝女이니라
(엄부는 출효자하고 엄모는 출효녀이니라)
☞ 엄한 아버지는 효자를 낳고 엄한 어머니는 효녀를 낳는다.
9, 憐兒어든 多與棒하고 憎兒어든 多與食하라
(연아어든 다여봉하고 증아어든 다여식하라)
☞ 아이를 사랑하거든 매를 많이 때리고 아이를 미워하거든 먹을 것을 많이 주어라.
10, 人皆愛珠玉이나 我愛子孫賢이니라
(인개애주옥이나 아애자손현이니라)
☞ 사람은 다 주옥을 사랑하나 나는 자손의 현명함을 사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