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마켓, 프리마켓? 차이점
프리마켓 (자유시장)
기존 시장의 방식과 틀에 구애됨이 없이 일정 기간 자발적으로 진행되는 시장의 통칭. 서구에서는 공유경제, 사회적 경제활동의 분야로 이해되는 측면이 강하며 기본적으론 물품과 판매 형태에 제약이 없습니다. 한국에서는 핸드메이드 창작자, 예술가 등이 직접 만든 결과물을 판매하고 소통하는 대안적 문화예술시장으로서 의미가 커서 일반적인 프리마켓의 경우 실제 참가하는 사람들을 핸드메이드 공예작가, 디자인 창작가, 공연 아티스트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창작 마켓, 아트마켓으로서 장르 복합 문화공간의 성격을 포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홍대 프리마켓
건대 프리마켓
주로 주말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열리며 국내에서 이런 형태로 열린 최초의 마켓은 2002년 5월 12일 시작한 '홍대 앞 희망시장'으로 해당 사이트에 한국 최초의 수공예 장터라고 소개되어있습니다. 서울 대학가 기준으로 이 용어를 그대로 쓰는 대표적인 마켓은 홍대 프리마켓, 건대 프리마켓 등이 있고 특히 2002년 6월 시작한 홍대 프리마켓의 경우 프리마켓의 대명사로서 이 용어 정착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아울러 지역과 의미를 담은 이름들을 붙여 00마켓, 00장, 00시장으로 부르는 곳들도 벼룩시장이 아닌 한 거의 동일한 의미입니다.
플리마켓 (벼룩시장, 빈티지 마켓)
플리(Flea)의 번역은 '벼룩'으로 사전적 의미 그래도 벼룩시장이라는 뜻입니다. 당연하게도 실제 벼룩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벼룩이 나올만한 오래된 물건이나 잘 쓰지 않는 중고품을 들고 나와 판매하거나 교환하는 시장으로 해외에서는 플리마켓, 한국에서는 벼룩시장으로 불리며 프리마켓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훨씬 이전부터 더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시장입니다. 한국에선 플리마켓과 프리마켓이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 위의 두 명칭은 현실에서는 거의 구분되지 않습니다. 둘은 명칭만 조금 다를 뿐 대다수에게는 대략 핸드메이드 작가, 창작가, 예술가, 메이커, 빈티지 품목들이 있는 공간인 것이죠.